곽인식

Quac In Sik


이우환

Lee U Fan


Printmaking

갤러리 신라 서울에서는 2021년 6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곽인식, 이우환의 판화전을 개최한다.
70-80년대 판화 15여점을 중심으로 곽인식(1919-1988)과 이우환(1936-)의 작품세계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Printmaking – Quac In Sik, Lee U Fan

1950-1970년대, 국내의 척박한 경제환경과 그로 인해 전무 하다 시피 했던 “미술 인프라” 속에서 서구 미술의 흐름을 따라 가는 것이 아닌,
그 흐름과 같은 속도로 혹은 더욱 앞서 새로운 미적 가치 추구한 한국의 작가들이 존재 한다.

그러한 작가 중 대표적인 인물로는 곽인식(1919-1988) 과 이우환(1936-)이 있다.
곽인식은 1937년부터 일본에서 활동하며, 이탈리아의 “아르테 포베라” 그리고 일본의 “모노하”운동이 시작되기 이전부터 사물의 물성을 탐구 하였다.

이러한 그의 선구적, 혹은 서구의 흐름보다 앞선 업적을 일본의 평론가 미네무라 토시아키는 아래와 같이 평했다.
“1962년의 (미술계의) 전진은 곽(인식) 개인의 변모인 동시에, 60년대 말 일본 미술의 변모를 예고하는, 은밀한 그러나 중요한 사건으로 명기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곽인식이 시작한 이러한 흐름은 키시오 스가를 포함한 다마 대학교의 14명의 아티스트들에 의해 “모노하”운동으로 이어 졌고,
국내에서도 “이우환”이라는 또 다른 인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개 된다.
이러한 이우환의 작업들을 통해 보여지는 “한국의 물성 탐구”는 서구 미술사에서도 주목 받는 하나의 유의미한 미술사적 현상으로 조명 받고 있다.

돌, 유리, 황동 등의 소재를 통해 “물성”에 대한 탐구를 시도 하였던 두 작가의 세계를 들여다 보기 위해 “판화”를 전시한다는 것은 일견 모순일 수 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반복하여 생산되는 판화의 매체적 특성은 회화가 가지는 “유일성”의 “환영”을 잠시나마 지워 주고, 오히려 두 작가의 개념과 의도를 더 잘 읽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물질적 토대가 바탕이 되어 인간의 정신과 문화가 형성 되고 발전하는 것인지, 인간의 정신과 문화를 통해 물질적 토대가 형성 되는 것인지는 “알” 과 “닭”과 같다.
하지만 척박한 환경 속에서 번득이는 정신적 가치를 구성한 “곽인식”과 “이우환”과 같은 한국의 원로작가들을 마주할 때마다, 필자는 후자에 이끌리게 된다.


이준엽, Assistant Director, Gallery Shilla.

English

Gallery Shilla will hold a print exhibition by Quac In Sik and Lee U Fan from June 15th to July 15th, 2021 . Focusing on 15 prints from the 1970s and 1980s,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art worlds of Quac In Sik (1919-1988) and Lee U Fan (1936-).

Printmaking – Quac In Sik, Lee U Fan

In the 1950s and 1970s, in a barren economic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art infrastructure” that was virtually non-existent, I did not follow the flow of Western art, but at the same speed as the flow. There are Korean artists who pursued new aesthetic values ahead of them.

Quac In-sik (1919-1988) and Lee U-fan (1936-) are representative of such writers. From the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objects were explored.

Toshiaki Minemura, a Japanese critic, commented on his pioneering achievements, or achievements ahead of the flow of the West, as follows: “The advancement (of the art world) in 1962 was a transformation of Quac (awareness) as an individual, and at the same time, Japanese art in the late 1960s. This trend, initiated by Quac In-shik, led to the “Monoha” movement by 14 artists from Tama University, including Kishio Suga, and also in Korea, “Lee U-fan” It is continuously developed by another person named Lee U-fan. The “exploration of Korean materiality” shown through Lee U-fan's works is being illuminated as a significant art historical phenomenon that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in Western art history. Exhibiting “prints” to look into the world of the two artists who attempted to explore “material properties” through materials such as stone, glass, and brass may seem contradictory at first glance. However, the medium characteristics of prints produced repeatedly will erase the “illusion” of “uniqueness” of painting for a while, and rather provide an opportunity to better read the concepts and intentions of the two artists.

Whether the human spirit and culture is form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material foundation, or whether the material foundation is formed through the human spirit and culture, is the same as “egg” and “chicken.” However, spiritual values that flash in a harsh environment Whenever I come face to face with veteran Korean writers such as “Quac In Sik” and “Lee U Fan,” who made up the , I am drawn to the latter.

Junyeop Lee, Assistant Director, Gallery Shil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