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신라는 2020년 11월 4일부터12월 31일까지 박두영의 개인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1983년도부터 10여회가 넘는 개인전을 발표해온 작가의 신라에서 개최되는 세번째 개인전입니다. 오로지 작업에 대한 일념으로 흔들리지 않고 정진하는 박두영의 작가정신을 엿볼 수 있는 전시입니다.

1980년대의 박두영은 미술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근본적인 것들, 일반적이지만 보편적이지 않은 기호나 개념들, 신체에서 유래한 감각 기제나 가치를 결정하는 일련의 의식 작용을 돌아보는 것이 작가의 역할이며, 작업의 중요한 국면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현상이나 개념들을 견출하고 재구성한 사진이나 설치작업을 선보였다. 이는 미술을 바라보는 관점 그 자체에 주목한 것으로 모두가 공유하는 개념이나 사실들이 개인마다 구축한 세계 모델이나 기호 체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미술의 일은 이것을 반성하고 재정의 하는 일이라고 믿었다.

1990년대 시작한 새로운 회화의 화면들은 거리의 어닝이나 가림막 같은 것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트라이프 패턴을 캔버스나 종이 위에 옮긴 작업이다. 화면 안에는 어떠한 메시지도 넣지 않은 작업으로 30여년의 짧지않은 시간동안 이 작업에 승부를 걸고 있다. 수직 수평의 직선면을 분할해서 반복하고 녹색과 적색, 청색과 황색 등 잘알려진 보색쌍을 교대로 배치하거나 색면 단계를 표시한 작업이다. 종이나 캔버스에 수채물감 또는 스스로 개발한 안료 혼합재료로 그린 것으로 처음에는 규칙적으로 분할한 칸에 정한 색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그렸지만, 점차 배열 규칙은 유지하면서 붓질의 느낌을 살리거나 재료를 겹치고 텃붙이는 등 방법에 따라 변화를 주고 있다.

작가는 오래전부터 미술의 주변을 살펴보는 일과 더불어 인류가 창조한 모든 종류의 이미지들에게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근대적 미술 개념과는 무관하게 인간의 표현 행위들을 보다 본질적인 것으로 생각한 것이다. 원시시대의 문양이나 낙서들, 유희나 제의(祭儀)를 위한 도상, 고문자, 수식이나 기하 도형들, 과학이나 철학의 도해(圖解), 종교화, 성적(性的) 상징들, 서사 기록, 도면이나 제품설명서들, 다이어그램이나 통계 도표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형상 기호들이 생산되었고 그것들은 언제나 용도나 기능 이상의 지식과 감각의 지평을 넓혀 왔다고 그는 생각했다. 이 과정을 통해 작가는 미술 작업을 미학적 담론을 뛰어넘는 인간 존재의 보편 가치로 인식해왔다. ‘미술을 위한 미술’에 앞서 그것을 수행하는 태도나 실천 가치에 마음을 둔 선택을 한 것이다.

이미지에 대한 기대는 없다고 말하는 그는 회화 내부의 서사나 담론에 매달리지 않는다. 미술의 가치는 미술 외부에 있으며 조형적 사건이 아니라 존재의 일로서, 의미는 그것을 수행하는 인간의 마음과 태도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한다. 그는 스스로가 제시한 단조롭고 무의미한 작업을 지키고 유지하는 삶을 통해 미술의 경계를 지우고 인간의 보편적 가치로 나아가려 하는 것이다. (박두영 작가노트)

이번 전시는 캔버스 작업 10여점과 종이작업 5,6점, 지난 ‘8~90년대의 작품 몇점이 전시될 예정이다. 화면 분할하기, 줄 긋기, 채색재료 만들기, 채색하기 등 일련의 작업을 과학자, 수학자 혹은 수행자처럼 반복해 오고 있는 박두영 작가의 의지와 태도를 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English

Gallery Shilla is pleased to present Park Doo-young's solo exhibition from November 4 to December 31, 2020.

This exhibition is the third solo exhibition held in Shilla by an artist who has presented more than 10 solo exhibitions since 1983. This is an exhibition where you can get a glimpse of Park Doo-young's artist spirit, who is devoted to his work without being shaken.

In the 1980s, Park Doo-young's role is to look back at the fundamental things that make up the concept of art, general but not universal signs or concepts, sensory mechanisms derived from the body, or a series of conscious actions that determine values, and I thought it was an important phase. Therefore, he presented photographs and installation works that discovered and reconstructed related phenomena or concepts. This focused on the point of view of art itself, and he believed that the work of art is to reflect on and redefine it because the concepts and facts shared by everyone differ according to the world model or symbol system built by each individual.

The screens of the new paintings that started in the 1990s are works of transferring the stripe patterns commonly seen in street awnings or screens onto canvas or paper. It is a work that does not put any message on the screen, and I have been betting on this work for a not short time of 30 years. It is a work in which vertical and horizontal straight planes are divided and repeated, and well-known complementary color pairs such as green and red, blue, and yellow are alternately arranged or color plane stages are marked. It was painted on paper or canvas with watercolor paint, or a pigment mixture developed by myself. At first, it was painted by filling regularly divided cells with a certain color. etc., depending on the method.

From a long time ago, the artist has been deeply interested in all kinds of images created by mankind along with looking at the surroundings of art. Regardless of the concept of modern art, human expressions were considered more essential. Primitive patterns or graffiti, icons for games or rituals, torturers, mathematical formulas or geometric figures, diagrams of science or philosophy, religious paintings, sexual symbols, narrative records, an innumerable number of figurative symbols, such as drawings, product manuals, diagrams, and statistical charts, have been produced, and he thought that they have always expanded the horizons of knowledge and sense beyond use or func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artist has recognized artwork as a universal value of human existence that goes beyond aesthetic discourse. Prior to 'art for art's sake', he made a choice based on the attitude and practical value of performing it.

Saying that he has no expectations about images, he does not cling to narratives or discourses within paintings. The value of art is outside of art, and it is not a formative event, but a work of existence, and the meaning comes from the mind and attitude of the human being who performs it. Through a life of preserving and maintaining the monotonous and meaningless work presented by himself, he is trying to erase the boundaries of art and move toward universal human values. (Artist Park Doo-young)

This exhibition will feature about 10 canvas works, 5 or 6 paper works, and several works from the 1980s and 1990s. This is an opportunity to see the will and attitude of Park Doo-young, who has been repeating a series of tasks, such as dividing the screen, drawing lines, making coloring materials, and coloring, like a scientist, mathematician, or perfor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