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아티스트 장영신의 개인전이 2011. 11. 16(수) - 12. 3(토)까지 갤러리 신라에서 개최된다. 대구에서 출생하고 성장한 작가는 이화여대에서 국문학과 미술사학을 복수 전공하고 뉴욕 School of Visual Art에서 Photography and Related Media Arts 전공으로 대학원을 졸업했다.

장영신은 미디어 작가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훈련성'이라고 한다. 매체의 속성상 미디어 예술은 장기간의 숙련과 숙달의 훈련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어 기교 위주의 개념적 작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칫 현실과 유리된 관념의 유희에 빠져 진정한 작가 정신을 담아내는 데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녀는 육체와 영혼 그리고 감성을 모두 아우를 줄 아는 훈련성을 기반으로 실천적 작업을 하고 있는 청년작가이다. 작가는 현장에서 직접 채집한 이미지와 소리 조각들의 모음을 통해 일상성의 익숙함에 숨은 낯섦의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면을 탐색한 작업을 선보인다. 또한 현대예술을 전공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부딪히는 동 시대의 자본과 예술작품의 상관관계에 대해 고민하며, 이질적 공간 속에 놓인 오브제를 통해 예술의 존재방식에 대해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이번 개인전의 타이틀인 는 우리말로 하면 ‘흔치 않은 극장’ 정도로 해석된다. 작가는 영상작업을 하면서 갤러리 공간을 극장으로 간주하였다. 극장과 무대에서는 언제나 젊고 멋있고 예쁜 주인공들이 드라마틱한 사건을 실어 나르지만 그의 작업에서는 시장 모퉁이, 공원 등 소외된 공간에서 만날 수 있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사소한 이야기를 전한다. 이러한 환상과 현실의 극명한 대립적 요소를 통해 작가는 전시공간을 기존 극장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의미의 극장으로 꾸미기 위해 전을 구성했다.

이번 전시는 와 <37>이라는 두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는 탑골공원, 종로, 강원도 고성 일대를 돌아다니며 채집한 이미지와 소리 조각들의 모음을 통해 익숙함과 낯섦,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면을 탐색한 것이며, <37>은 신자유주의시대의 자본과 예술의 상관성에 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English

Media artist Jang Young-shin's solo exhibition will be held at Gallery Shilla from November 16 (Wed) to December 3 (Sat), 2011. Born and raised in Daegu, the artist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and Art History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graduated from New York School of Visual Art with a major in Photography and Related Media Arts.

Jang Young-shin says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 media writer is 'discipline'. Due to the nature of the medium, media art does not go through a long-term training process for mastery and mastery, so anyone can easily access it, which often leads to technically oriented conceptual work.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fall into the play of ideas that are separated from reality and have limitations in capturing the true spirit of the artist. She is a young artist who is doing practical work based on a discipline that knows how to encompass the body, soul and emotions. The artist presents a work that explores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by showing images of unfamiliarity hidden in the familiarity of everyday life through a collection of images and sound fragments collected directly from the field. In addition, he ponders the correlation between capital and works of art in the same era that anyone majoring in contemporary art encounters and asks the audience questions about the way art exists through objects placed in heterogeneous spaces.

The title of this solo exhibition translates as 'uncommon theater'. The artist regarded the gallery space as a theater while working on video. In the theater and on the stage, young, cool and pretty characters always carry dramatic events, but in his work, he tells the people he can meet in marginalized spaces such as market corners and parks, and their trivial stories. Through these elements of stark opposition between fantasy and reality, the artist composed the exhibition to decorate the exhibition space as a theater with a new meaning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heater.

This exhibition consists of two works, <37> and <37>. <37> explores the boundary between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reality and unreality through a collection of images and sound fragments collected from walking around Tapgol Park, Jongno, and Goseong, Gangwon-do.